닫기
Project 3030
Happy energy
Power UP 2019
독자참여
트렌드 해시태그

줄임말과 이모지를
아시나요?

요즘 10~20대는 SNS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신조어를 많이 사용한다.
10~20대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와의 대화에 어려움을 호소한다. 소통의 첫걸음은 관심이라고 했던가.
젊은 세대가 많이 사용하는 줄임말과 이모지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실


신조어와 줄임말 왜 사용할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고 이를 표현할 새로운 말이 탄생한다. 신조어는 기존에 있던 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거나 ‘흙수저’, ‘N포세대’처럼 시대 상황을 반영하기도 한다. 인터넷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누구나 신조어를 제조 하면서 수많은 신조어가 생기고 사라진다. 젊은 세대 사이에서 신조어와 줄임말은 일종의 놀이 문화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단체 대화방에서 빠르게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짧고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줄임말이 만들어졌다. 신조어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의사소통과 언어 파괴가 우려된다는 의견과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자연스러운 변화라는 의견들이 분분하다. 사실, 말과 글은 늘 시대에 맞춰 변해왔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가 소통하려면 젊은 세대는 바른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기성세대는 어떤 신조어와 줄임말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어떤 신조어가 있을까?
‘TMI’는 영어 ‘Too Much Information’의 앞 글자를 따 과도한 정보라는 뜻이다. ‘복세편살’은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할말 하않’은 ‘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의 줄임말이다. 방언이었지만 새로운 의미로 쓰이는 단어도 있다. ‘뽀시래기’는 전라도 방언 ‘부스러기’란 뜻이지만, 요즘은 귀엽다는 의미로 쓰인다. 1인 가구 시대를 반영하는 신조어로 ‘혼바비언(혼자서 밥먹기를 즐기는 사람)’, ‘혼코노(혼자서 코인 노래방에 간다)’ 등이 있다. 단어의 모양을 비슷하게 변형하여 만든 ‘띵작=명작’, ‘댕댕 이=멍멍이’, ‘네넴면=비빔면’ 등도 유행하는 신조어다.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이모지

이모티콘 emoticon 은 익숙하지만 이모지 emoji 는 다소 생소하게 다가온다. 두 가지 모두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감정을 표현 하는 수단이다. 이모티콘은 부호를 조합해 표정이나 감정을 표현하는데 이모지는 이미지를 활용하는 픽토그램 pictogram 이다. 픽토그램이란 사물, 시설, 행태, 개념 등을 알아보기 쉽게 상징적으로 표현한 일종의 그림 문자다. 이모지는 일본의 통신사 NTT 도코모에서 90년대 후반에 개발했다. 감정 표현을 쉽게 하는 방법을 고민하다 이모티콘을 이미지로 형상화한 이모지가 고안되었다. 이후 2010년 유니코드 표준에 이모지가 포함되면서 국제 표준이 되었다. 이모지는 언어를 넘어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의사소통 도구로 진화하고 있다. 세계 언어라 불리기도 하는데 서로 언어가 달라도 이모지 하나로 간단한 의사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문자로 표현하기 부족한 감정을 충분히 전달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빠르게 의미를 강조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다만, 이모지마다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여러 이모지를 하나로 합해도 문장이 되지 않아 해석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같은 단어 일지라도 구글, 페이스북, 애플 등 제공하는 플랫폼에 따라 이모지가 다르다. 이모지는 인종, 성별, 표정, 머리카락 색도 표현한다. 직업, 여가, 여행, 운동, 동물 등 종류도 다양하다. 최근에는 안내견과 보청기, 흰 지팡이, 휠체어 등의 이모지가 추가 되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벽을 깨는 데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유니코드 : 국가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

우) 48400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 TEL : 070-7713-8000
개인 정보 취급 및 이용 정책 Copyright BGF Retai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