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Project 3030
Happy energy
Power UP 2020
독자참여
친절한 경제씨

‘텅장’에서
‘통장’으로

목적에 따라 나누는 통장 쪼개기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하면 금리가 높은 금융상품에 급여를 한 번에 넣고 관리하는 것을 이득이라고 생각한다.
또 다른 경우는 입금된 돈을 필요한 곳에 사용한 뒤 남은 돈을 모아 저축하는 것을 ‘재테크’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에 현혹되기 쉽다.

이동규 칼럼니스트


통장에는 급여만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상여금, 연말정산 환급금, 용돈 등 다양한 곳에서 돈이 들어온다. 지출 또한 한 곳이 아닌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통장 하나에 돈을 넣어두고 지출하다 보면 어디서 얼마가 들어왔고 어디로 얼마가 나가는지 알 수 없으며, 지출과 관련한 사고가 생겼을 경우 증명하기 힘든 상황에 처한다.
결국, 덮어 놓고 지출하다 보면 통장의 잔고는 ‘텅장’이 되어 버릴 것이다. 이는 잘못된 소비습관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그렇다면 텅장을 통장으로 지키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바로 재테크의 가장 기본인 통장 쪼개기 활용이다.


1STEP 비상금 통장 만들기
비상금 통장은 질병, 사고, 실직 등 갑자기 돈이 필요해지는 비상사태를 대비해 월급의 3~6배를 모아두는 것을 목표로 잡고 비정기적 수입을 저축해야 한다. 비상금의 경우 외벌이는 6개월, 맞벌이는 각자의 3개월 치 월급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비상금 통장의 돈을 쓸 때는 ‘의료 비용이 10만 원 이상일 때’, ‘50만 원 이상의 목돈 지출이 필요할 때’ 등과 같이 명확한 금액과 상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옷 사는 데 돈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순한 이유로 비상금 통장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비상금은 언제 사용할지 모르니 CMA 통장이나 MMF 통장같이 이율이 높은 통장에 넣어두면서 이자를 챙기는 것을 추천한다. 이율이 높은 통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따져봐야 할 것이 수수료다. 아무래도 증권사 상품이기 때문에 다른 은행 ATM기를 이용할 때 이용 수수료가 많이 나올 수 있어 수수료 면제 상품이 있는지, 혹은 더 적은 수수료를 내는 상품은 무엇인지 따져보고 가입해야 한다. 하지만 고수익상품인 만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위험성도 있으니 CMA, MMF 통장은 큰돈을 굴리기보다는 예금자 보호가 되는 선 안에서 돈을 예치해두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목돈 및 수익성을
가져다 주는 통장은
재테크 통장이 될 수 있다.
적금, CMA 통장,
보험, 연금, 펀드 등이 해당한다

2STEP 재테크 통장 만들기
정기적인 지출은 재테크 통장과 생활비 통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재테크 통장은 매월 고정적으로 나가는 저축・투자 및 지출 항목을 자동이체로 설정해 두는 통장이다. 통장 쪼개기의 핵심이 될 수 있는 ‘선적금 후지출’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재테크 통장에 자동이체를 통해 월급의 일부를 빠르게 넣어 둬야 한다. 월급을 받자마자 돈을 묶어두어야 지출 예산에 맞게 사용하면서 월급을 아낄 수 있다.

재테크 통장에서 이체되는 돈은 적금, 보험, 연금, 펀드, 대출 원리금 등이다. 만약 갓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회초년생이라면 재테크 통장은 돈을 쉽게 인출할 수 없는 정기 적금 같은 금융상품을 추천한다. 아울러, 재테크 통장이라고 해 거창한 투자를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목돈 및 수익성을 가져다주는 통장이 재테크 통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테크 통장은 월급을 나누는 비율도 중요하다. 재테크 통장의 비율은 고정 수입의 45% 정도를 자동이체로 걸어 두는 것이 좋다. 45%의 금액을 모두 하나의 금융상품에만 넣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적금, 펀드 등을 위한 저축・투자통장으로 15%, 보장성보험으로 10%, 대출 원리금 10%, 연금 10%로 배분한다. 물론 이것은 예산을 설정해 두는 방법일 뿐이니, 자신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적금을 고를 때는 은행연합회에서 적금 상품의 금리를 비교해 본인에게 맞는 조건을 선택해야 한다.
3STEP 생활비 통장 개설
생활비 통장은 예비비 통장에 10%, 재테크 통장에 45%를 배분하고 남은 45%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00만 원 월급의 사회초년생일 경우, 90만 원의 생활비 예산을 가지고 한 달을 생활하게 된다면 남는 돈을 재테크 통장(특히 저축・투자통장)에 배분하고, 부족하면 저축・투자통장에서 유용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생활비 통장도 식생활비, 문화생활비, 교통통신비, 주택관리비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이 되는데, 이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시중에 나와 있는 가계부를 이용한다. 매달 발생하는 고정적인 지출을 재테크 통장으로 이체했다면, 매달 변동되는 지출을 생활비 통장으로 보낸다. 이때, 이체하는 금액은 한 달 동안 예상치 못한 소비나, 충동적인 소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측정했던 예산보다 10~20% 정도 조금 더 여유 있게 잡아야 한다.

이렇게 별도의 지출 통장을 만들어 놓으면 한 달의 변동 지출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정해진 예산 안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를 억제하는 효과까지 볼 수 있어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준다. 그리고 생활비 통장과 연결된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활용하면서, 나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를 이용해 카드 혜택을 쏙쏙 뽑아 챙기는 것도 좋다. 뷰티/미용 쪽으로 소비가 많다면 그에 특화된 카드를, 교통비의 지출 비중이 크다면 교통비 할인이 되는 카드를 이용하면서 할인이나 포인트 적립 등을 체크해야 한다.

지금까지 통장 쪼개기에 대해 알아봤다. 재테크 통장, 생활비 통장, 예비비 통장, 비상금 통장으로 급여를 나눠서 사용한다면 한 달 지출 내역과 금액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돈을 절약하기 쉽고, ‘선적금 후지출’을 지킬 수 있어서 돈을 모으기도 수월하다.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첫 번째 지름길인 올바른 통장 쪼개기. 비상예비자금, 재테크, 생활비 이 세 가지 용도로 통장을 활용해 현명하게 월급을 관리 하길 바란다.

    TIP

  • 나의 과소비지수는?
  • (월급-저축 금액)÷월급=과소비지수 ex) (100만 원-20만 원)÷100만 원=0.8 (1) 심각한 과소비 / (0.7~0.9) 과소비 /
    (0.6) 적정 소비 / (0.5 이하) 알뜰 소비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