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3020재생에너지 이행계획 이후,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꾸준히 건립되고 있다.
발전소가 증가하는 만큼 신재생에너지가 우리에게 주는 파급효과도 함께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글 최민지 칼럼니스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일자리 창출에 기여
올해 장마 기간은 54일로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일각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예측할 수 없는 이상기후로 이어진 것이라 말하기도 한다. 이처럼 계속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가 전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2017년 정부의 ‘3020재생에너지 이행계획’ 발표 이후, 여러 경제 주체의 활발한 참여와 재생에너지 설비의 비용이 하락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정부 또한 그린 뉴딜 정책의 하나로 올해 주택과 건물 태양광 보급에 5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임을 밝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설비가 더 늘어날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국내의 재생에너지 확대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태양광과 풍력 발전 중심의 재생에너지 확대가 국민에게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이에 앞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산출액과 분야별 고용창출효과를 살펴보면, 산출액 10억 원당 2.3명의 고용유발효과를 만들어내며, 화학제품>1차 금속제품>도소매서비스 순으로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함께 산업과 건물, 운송 등 스마트에너지 분야에서도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산업에서 약 11만 명, 스마트에너지 산업에서 38만 명 규모의 일자리가 추가되는 등 최소 50만 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4차 산업혁명과 만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2019년 4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 2050년 로드맵’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산업은 현재 하드웨어 중심의 산업에서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바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 집중형 및 공급자 중심의 에너지 공급에서 국민 참여가 확대된 이익 극대화 구조로 변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에너지전환에 따라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많이 창출될 것으로 파악된다.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하게 확대되는 만큼 국민에게 미치는 파급효과의 범위도 같이 넓어질 것이다. 하지만 태양광, 풍력 보급이 확대될 때 수입에 의존한다면 생각보다 큰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
수입 아닌 우리 스스로
경쟁력 갖춰야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힘만으로 재생에너지를 확보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 먼저, 풍력은 국내 시장 확대와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태양광의 경우 기존 형태에서 더 나아가 수상, 해상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보급 환경과 시장을 갖춰야 한다. 새로운 기술에 기반한 신시장을 창출해야 신재생에너지 관련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발전원은 광산품이나 운송서비스 쪽의 고용효과가 컸지만, 태양광과 풍력은 화학제품이나 전기장비의 고용효과가 크다. 즉, 태양광과 풍력의 보급이 늘어날수록 기존 발전원과 다르게 화학, 전기, 기계 등의 제조업에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 제조업 분야에 경제적 효과를 더 많이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기후변화에 대응할 가장 유효한 방법이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앞으로 태양광과 풍력 보급을 확대하면서 국내의 태양광 및 풍력 제조업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해 국민들이 재생에너지를 통해 깨끗한 기후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일자리 창출로 더욱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