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들어서면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것이 국가 에너지 정책의 전환이다.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해 미세먼지를 비롯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국가 에너지 기반을 다져나가겠다는 정책 방향에 발맞춰 남부발전은 자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30%로 정하고, 친환경 전력을 공급해 미래 에너지산업을 선도해나갈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Project Ⅰ | 글 편집실 사진 STUDIO 100
국내 최초 우드펠릿 혼소설비 발전소라는 자부심
하동화력 발전본부 연소기술센터 강기태 차장은 하동화력에우드펠릿 혼소설비를 도입하기까지 반대의 목소리가 높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이에 대한 의지를 꺾을 수 없었다고 회상한다.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RPS 정책에 대처하려면 바이오연료는 필요불가결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우드펠릿 혼소설비를 도입한 일본의 발전소를 벤치마킹하면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쳐 국내 상황에 적합한 설비보강과 혼소비율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듬해인 2013년부터는 타 발전사에서도 바이오연료 혼소설비를 점진적으로 갖춰가는 추세로 발전했다. 지금은 대부분 발전사가 우드펠릿 혼소설비를 도입한 상황이지만 당시만 해도 국내 최초이자, 선도적으로 임했다는 점에서 자부심이 남다르다.
RPS 제도가 시행된 2012년 이후 바이오에너지에 의한 의무공급량과 비중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2년 전체 발전량의 2%인 834GWh였던 것이 2017년 현재는 발전량의 5%인 2,749GWh로 크게 늘어났다. 바이오에너지의 대부분은 우드펠릿의 석탄화력발전소 혼소 방식으로 채워지는 만큼 국회나 환경단체에서 바이오연료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사실. 정부에서도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의 균형 있는 발전을 원하고 있어 바이오 자율규제 상한범위 30% 내 연소를 추진하려는 분위기다. 따라서 하동 우드펠릿 혼소는 RPS와 탄소배출권 거래제 이행을 위해 바이오 상한 30%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혼소를 추진할 계획이다. 2015~17년까지 최대 혼소 추진량이 33만 톤이었던 것을 2018년 이후에는 17~28만 톤으로 줄이는 등 탄력적으로 혼소할 계획이다.
궁극적인 에너지원은 태양광, 풍력으로 확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비율을 2030년까지 28%로 대폭 상향 조정하고 태양광과 풍력의 비중을 늘려나가기로 했지만 각종 인허가 규제, 민원 등으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남부발전은 RPS 의무량 이행을 위해 사업진척도, 경계성 등을 고려하여 혼소비율을 조정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우드펠릿 연소비율이 RPS 전체 이행의 30%를 넘기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연소 초기에는 50%에 육박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으나 지금은 20%대까지 낮아졌습니다. 남부발전의 바이오연료 연소 추진사업은 정부정책 안에서 움직이고 있고, 앞으로도 정부가 권장하는 비율을 준수하면서 점점 그 이하로 낮추려고 노력해나갈 예정입니다.” RPS총괄부 이광수 차장은 국산풍력 100기 프로젝트를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왔고, 대규모 태양광단지 조성 등 다른 에너지원 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국산풍력 100기 프로젝트는 풍력을 활성화해서 해외 수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조성하는 사업인 만큼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공기업으로서 산업육성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데 의미를 두고 싶다고 강조한다.
우리나라는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다. 자원이 없는 만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일 터.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원이 제대로 확산되려면 무엇보다 강력한 정부 규제를풀어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바이오연료는 RPS 제도하에서는 필수적인 사업입니다. 회사의 재무적인 경영성 악화 우려가 있어 전략적으로 바이오연료 사업을 추진해야 하지만 남부발전은 궁극적으로는 풍력, 태양광으로 정책 방향을 잡고 있습니다.”
이광수 차장은 궁극적으로 남부발전의 목표는 신재생에너지원을 태양광, 풍력 위주로 사업을 확대해가는 것이며, 초기에는 인허가, 민원 등의 규제 때문에 더디게 진행돼 지금은 바이오연료가 받쳐주고 있지만 향후에는 태양광, 풍력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에너지원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